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atholic-Catholicus/Catholic Dictionary5

[Dictionary ; 가톨릭사전] 마르코 / Marcus / Mark 📖 마르코 📖 라틴어 : Marcus 영어 : Mark 복음사가(福音史家). 그의 이름을 딴 마르코 복음서가 있다.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파피아스(130년경 별세)에 의하면 마르코는 베드로의 통역이었는데 베드로가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에 관해서 가르친 것을 기억나는 대로 충실히 기록했다고 한다(에우세비오, 교회사 3, 39, 15). 신약성서에는 요한 마르코라는 인물이 열 번 나오는데 요한은 이스라엘식 이름이고 마르코는 로마 · 그리스식 이름이다. 그는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예루살렘에 살았으며 그 집에 그리스도 교인들이 모이곤 하였다(사도 12:12). 바울로와 바르나바를 따라(사도 12:25) 45-49년경의 1차 전교여행을 함께 했는데(사도 13:5) 키프로스까지 동행한 후 그 다음 목적지인 소아시아의 .. 2024. 3. 28.
[Dictionary ; 가톨릭사전] 신경 / Credo / Creed 📖 신경 📖 라틴어 : Credo 영어 : Creed 한자 : 信經 신앙을 고백하기 위해 그리스도교 교의(敎義)의 요체(要諦)를 간추려 적은 공식적이고 권위 있는 진술. 처음에는 입교 때 행하던 간단한 신앙고백에서 시작하여 4세기경에 마태 28:19을 따라 차츰 3단락의 단일한 형식으로 정비되면서 니체아신경과 콘스탄티노플신경, 사도신경(使徒信經) 등으로 발달하였으며, 서방에서는 오래된 로마신경에서 나온 사도신경을, 동방에서는 니체아 공의회에서 인정된 니체아신경을 각각 세례신경으로 채택하였다. 동방교회에서는 5세기말 경부터 이미 성찬식 때 신경을 암송하기 시작했으나 로마 가톨릭 교회는 1014년에 비로소 이것을 채택하였다. 2024. 3. 28.
[Dictionary ; 가톨릭사전] 대영광송 / Doxoloia major / Glory 📖 대영광송 📖 라틴어 : Doxoloia major 영어 : Glory 한자 : 大榮光誦 Doxoloia major 하느님을 찬미하는 노래 또는 기도문. 미사 때 거의 외거나 노래하는 ‘하늘 높은 곳에는 천주께 영광’은 대영광송으로 불리고 소영광송(doxologia minor)은 단순히 영광송으로 불린다. ‘감사가’(Te Deum)와 함께 초대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부르던 시편 중의 하나로, 우리에게 드물게 전해진 예이다. 미사에서는 신자 전체나 성가대와 신자들이 번갈아 가면서 부르거나 성가대가 단독으로 부른다. 대림절과 사순절 이외의 일요일과 축일, 그리고 특별히 거룩한 기념식에서 불려진다. (⇒) 영광송 Glory 미사의 시작 예식에서 참회 예식 뒤에 삼위일체를 찬양하는 고대 찬미가이다. 대축일, 축.. 2024. 3. 28.
[Dictionary ; 가톨릭사전] 전례 / Liturgia / Liturgy 📖 전례 라틴어 : Liturgia 영어 : Liturgy 전례는 교회의 의식(儀式)이다. 교회가 성서나 성전(聖傳)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공인한 의식으로 개인의 신앙생활과는 구별된다.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의 교회 안에서 그 전례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미사(Missa)이며, 그밖에 성사 및 준성사, 성무일도, 성스런 행렬, 성체 강복식 등이 전례 속에 포함된다. 이 말의 원어(原語)는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10:11에 나오는 그리스어의 ‘liturgia’이며, ‘민중(laos)에 대한 봉사(ergon)’를 의미하였다. 또 가난한 사람에 대한 교회의 구빈사업(救貧事業)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였다(2고린 9:12). 그런데 민중에 대한 봉사나 구빈사업은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에서 집단적으로 행해.. 2024. 2. 29.
[Dictionary ; 가톨릭사전] Catholicus/Catholic 📖 가톨릭 라틴어 : Catholicus 영어 : Catholic ‘일반적, 보편적’이란 뜻의 그리스어 ‘katholikos’에서 유래된 말이다. 교부시대에는 ‘보편적, 공번된’이란 뜻으로 가톨릭 섭리, 가톨릭 부활이라 했는데, 이냐시오(Ignatius)가 처음으로 가톨릭 교회라고 쓴 이래 이 용어가 널리 승인되어 니체아 신경(信經)에서 “하나요 거룩하고 공번되고 사도로부터 전래된 교회”라는 표현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공번된, 보편적’이란 성 빈첸시오(St. Vincentius Lerinensis)가 지적했듯이 “모든 사람이 모든 시대에 모든 장소에서 믿어 온 것”을 의미한다. 교회가 보편적이기 위해서는 교회가 가르치는 신앙이 마땅히 타당해야 했으므로 이단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신앙의 정통성을 의미하는 .. 2024. 2. 28.
728x90
반응형